
토목공학 은 고대인류문명의 발상부터 시작되어, 좀더 쾌적한 미래의사회기반시설을 계획, 설계, 건설 및 유지 관리하는 첨단 복합공학으로, 다가오는 21세기의 합리적인 국토개발과 우주 및 해저, 해양, 수상, 지하문명의 기반시설을 구축하기 위해, 지진과 태풍, 홍수 등 온갖 자연재해를 극복할 수 있는 고속전철, 지하철, 경전철, 고속도로, 공항, 항만, 인공섬, 하천시설, 도시수방구조물 및 다목적 댐 등을 설계, 건설하는 응용공학 학문이다.
즉, 공공의 복지에 직접 공헌할 수 있는 대소 규모의 토목사업을 수행하는 데 필요한 국민의 공학(Civil Engineering)이다. 토목공학은 철근콘크리트와 강구조, 고강도 초경량 첨단신소재 등의 결합을 통해 모든 건설구조물의 형상화와 컴퓨터를 이용한 해석 및 설계, 인공지능 등의 개념을 도입한, 내진, 내풍 등 진동제어와 구조물의 파괴와 내구성등을 연구하는 구조 및 재료분야, 효율적인 수자원관리, 항만 및 해안개발을 통해 쾌적한 환경을 조성하는 수리 및 환경분야, 구조물 기초지반의 물성연구 및 연약지반개량 등을 통해 지반의 공학적 특성을 연구하는 토질 및 기초분야, 구조물의 건설경영합리화를 위한 건설관리분야와 측량분야 등으로 이루어진다.
본 전공은 이러한 토목공학 분야 뿐만 아니라 해안/해양에 건설되는 국가간시설물에 대한 설계와 시공을 위한 전문적인 지식을 함께 배움으로써 보다 특화된 전문인력을 양성할 수 있다.
홈페이지 바로가기
즉, 공공의 복지에 직접 공헌할 수 있는 대소 규모의 토목사업을 수행하는 데 필요한 국민의 공학(Civil Engineering)이다. 토목공학은 철근콘크리트와 강구조, 고강도 초경량 첨단신소재 등의 결합을 통해 모든 건설구조물의 형상화와 컴퓨터를 이용한 해석 및 설계, 인공지능 등의 개념을 도입한, 내진, 내풍 등 진동제어와 구조물의 파괴와 내구성등을 연구하는 구조 및 재료분야, 효율적인 수자원관리, 항만 및 해안개발을 통해 쾌적한 환경을 조성하는 수리 및 환경분야, 구조물 기초지반의 물성연구 및 연약지반개량 등을 통해 지반의 공학적 특성을 연구하는 토질 및 기초분야, 구조물의 건설경영합리화를 위한 건설관리분야와 측량분야 등으로 이루어진다.
본 전공은 이러한 토목공학 분야 뿐만 아니라 해안/해양에 건설되는 국가간시설물에 대한 설계와 시공을 위한 전문적인 지식을 함께 배움으로써 보다 특화된 전문인력을 양성할 수 있다.
홈페이지 바로가기